교수소개
HOME > 교수소개 > 정강환
정강환 교수
- 연락처 : 042-520-5717
- 이메일 : jghon@pcu.ac.kr
- 전공 : 이벤트관광, 관광이벤트기획
- 학력 : The University of Wiscconsin(미국) - 관광,호텔학 석사
The University of Minesota(미국) - 레저,레크레이션,관광학박사
강의과목
- 이벤트관광론
- 관광이벤트경영세미나
- 관광이벤트특강
- 관광이벤트경영실무론
경력
- 배재대학교 관광축제호텔대학원 원장 (아시아 최초 축제전문 대학원)
- IFEA KOREA(세계축제협회 한국지부) 회장
- IAFE(국제 Fair 협회) 한국담당이사
- 세계인명사전 3곳 등재 : 마르퀴즈 후즈 후(Marquis Who´s Who), 영국국제인명센터(IBC), 미국인명정보연구소(ABI)
- 한국관광기자협회 ´올해의 관광인상´ 수상 (2006)
- 제17대 대통령 인수위원회 자문위원
-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평가위원회 관광분과위원장
- 문화체육관광부 예술축제 평가위원
- 문화관광부 문화관광축제 심사․평가위원
- 문화재청 문화재 위원회 전문위원
- 국가균형발전위원회 신활력지원사업 자문위원
- 농림수산식품부 농촌활력증진사업 중앙평가위원
- 향토산업육성사업 컨설팅 전문위원
- 전국의 12개 축제평가 및 자문위원 (금산인삼축제, 김제지평선축제, 진주남강유등축제 등)
- 배재대학교 관광경영대학원 원장(2003. 3 ~ 2005. 8)
- 배재대학교 관광경영대학 학장 (2000. 3 ~ 2004. 2)
- 배재대학교 관광이벤트연구소 소장
- 문화관광부 문화관광축제 및 문화의 거리 위원
- 축제평가 및 자문위원 (금산인삼축제, 김제지평선축제, 강진청자문화제 등)
- 보령머드축제 고문 (보령시 명예시민)
- 안면도국제꽃박람회, 광주김치축제 추진위원
- 2003 경주문화엑스포, 강릉국제민속관광박람회 추진위원
- 국제저널 "Event Management" 아시아 지역담당 편집장
- 국제축제 및 이벤트 협회 (IFEA)정회원
- 한국레저관광학회 부회장
- 행정자치부 지역개발부문 정책자문위원
- 문화관광부 2001년 지역문화의 해 추진위원
- 한국이벤트학회 부회장
- 국무총리실 세계화추진위원회 문화관광분과 연구위원
- 이벤트 전문지 월간 ´이벤트 뉴스´ 고문
- 국가행정연수원, 경기공무원연수원, 한국관광공사 등 강의 및 교육활동
- 충남 보령 만세 보령제 개선방안을 통한 머드축제 개발
- 충남 서산해미읍성관련 축제개발 프로젝트 수행
- 대전사이언스페스티벌 개발 프로젝트 수행
- 안산문화예술축제 기획을 통한 안산김홍도축제 개발
- 광주동구 문화축제개발 : 추억의 7080 충장로축제
- 고령대가야체험축제 개발 프로젝트 수행
- 태안6쪽마늘요리축제 개발 프로젝트 수행
- 미국 관광학회(TTRA) 최우수 석사논문상 수상
- 대통령 표창 2001 지역문화의 해 추진위원 공로
- 한국이벤트학회 한국이벤트학술상(최우수 논문)
주요 수상경력
- 대통령표창 수상(2001, 지역문화의 해 추진위원)
- 미국 관광학회(TTRA) 최우수 석사연구논문상 수상(1988)
주요저서 및 연구 논문활동
- <21세기 지역개발형 축제로의 선택 : 관광이벤트> (월간이벤트 2004)
- <이벤트관광전략 : 축제와 지역활성화> (일신사 1996)
- <한국의 지역축제>(문화체육부 1996) (공저)
- <세계화시대의 관광산업>(이벤트관광전략과 발전) (일신사 1996) (공저)
- 한국관광업계의 외래관광객에 대한 마케팅 차별화전략 수립을 위한 주요국제관광시장별 관광해동특성
- 파악에 관한 연구, 연구결과 보고서(1995)
- 대형 이벤트 유치 전후비교를 통한 개최지의 관광개발영향연구-93대전엑스포연구사례, 성곡논총(1995)
- 한국관광객의 해외여행 행동특성에 관한 연구, 관광개발논총(1995)
- Evaluation of the 1994 Paekce Cultural Festival, Puyo in tourism perspective,A.P.T.I.C(1995)
- 백제문화제의 관광상품화를 위한 방문객조사및 평가에 관한 연구 - 1994년 부여 행사를 중심으로,사회과학연구(1995)
- POST-EXPO(1994 TAE INTERNATIONAL EXPOSITION) TOURISM IMPACTS ON TEAJON, THE HOST REGION, International Marketing Educators and Researchers(1995)
- 한국의 문화관광활성화를 위한 외국사례분석 및 이벤트 관광전략에 관한 연구, 사회과학연구(1995)
- 지역활성화를 위한 이벤트 관광전략에 관한 연구 -외국사례 분석을 중심으로, 지역개발논총(1995)
- 제주지역의 관광활성화를 위한 이벤트관광 발전방향, 연구결과 보고서(1995)
- 엑스포과학공원 장기발전방향, 정부용역보고서(1995)
- 한국 관광협회 활성화 방안 수립을 위한 연구, 공청회보고서(1995)
- 제3회 광주김치축제 행사평가 및 방문객 조사에 관한 연구(1996)
- 제16회 금산인삼제 행사평가 및 방문객 조사연구(1996)
- 백제문화제 행사의 고증과 정리, 최종보고서(1996)
- 제19회(1996년) 진도영등제 방문객조사 및 행사평가에 관한 연구, 연구결과보고서(1996)
- Cross-cultural Tourist Behavior : Perceptions of Korean Tour-guides, Tourism Management(1996)
- 지역활성화를 위한 대전지역 이벤트 발전방향, 대전충남발전포럼,(1996.1)
- 백제문화제의 관광상품화를 위한 방문객조사 및 평가에 관한 연구, 사회과학연구(1996.2)
- Cross-cultural tourist behavior : Perceptions of Korean, Tourism Management(1996.6)
- 지역활성화를 위한 이벤트와 지역축제 진흥방안, 지방행정연구 (1996.11)
- 백제문화제 관광상품화 전략,열린충남(1996.12)
- Resident Perception of Mega-event Impacts, Festival Management & Event Tourism(1996.12)
- 지역축제의 관광상품화 및 이베트 개발전략에 관한 연구,향토사연구(1997)
- 관광축제로 본 제 16회 금산인삼제 행사평가분석조사, 사회과학연구(1997.2)
- 대형국제행사와 관광산업-2002년 월드컵을 중심으로-,삼성경제(1997.8)
- 문화관광축제로서의 금산인삼제 행사평가, 관광학연구 (1998.8)
- 제 18회 금산인삼축제 평가조사 및 방문객조사의 주요결과 및 발저전략 제시,Total Event Guide(1999)
- 이천도자기 축제의 외국인 관광객분석과 행사평가에 관한 연구, 사회과학연구(1999.2)
- 문화관광축제로의 이천도자기축제의 국내외 방문객시장 분석, 방문동기 및 축제평가에 관한 연구, 관광연구 (1999.6)
- 생산적인 시각, 지역주민의 적극적 참여유도, 관광공사(1999.7)
- 지역축제 문화관광자원화 방안, 우리문화(1999.9)
- Meeting Planners´ Perceptions of site selection characteristics, Journal of Convention & Exhibition Management(1999.11)
- 국내외 관광이벤트들의 성공사례분석과 당면과제, 사회과학연구(2000.2)
- 독특한 테마형 축제로 이이어지는 여름을 기대,KODA TIMES(2000.6)
- 지질관광대상지 활성화를 위한 관광객 시장분석과 관광프로그램 및 이벤트개발에 관한 연구,관광학연구(2000.8)
- 메가이벤트(Mega-Event)로서 2002년 월드컵의 관광효과, 한국관광학회보(2000.8)
- 경영마인드와 만족도 사이에서- 지역축제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, 문화도시 문화복지(2000.12)
- 월드컵개최효과 제고를 위한 관광이벤트전략,계간 한국 관광정책(2001.4)
- 문화관광축제평가에 관한 연구(통영나전칠기축제를 중심으로), 이벤트연구(2001.12)
- Geotourism 대상지역의 지질공학적 특성 및 장기 보존 기술에 대한 기초연구, 한국자원공학회지(2002.1)
- 충남지역의 축제진단,예술세계(2002.2)
- 2001년 대전 사이언스 페스티벌의 경제적 파급효과, 사회과학연구(2002.2)
- 지역축제의 경제적 파급효과, 계간지역사회(2002.3)
- 생태관광형 축제평가,2002한국전략마케팅학회 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(2002.4)
- 대전관광상품 개발과 이벤트,대전발전포럼(2002.4)
- 문화관광축제로서의 보령 머드축제 행사평가, 관광레저연구(2002.6)
- 광주 김치축제의 국내외 방문객시장 분석 및 축제평가에 관한 연구, 이벤트연구(2002.6)2001 금산인삼
- 제 참가자 소비성향 및 경제적 파급효과, 이벤트연구(2002.6)
- 이벤트개최 및 보행자전용지구설정을 통한 물리적 계획특성에 관한 연구, 대한건축학회논문집(2002.11)
- 지역축제의 효율적 행사장 구성에 관한 연구, 이벤트연구(2003.1)
- 문화관광축제로서의 무주반딧불축제 행사평가, 관광레저연구(2003.5)
- 충남방문의 해를 맞이한 관광활성화 방안, 열린충남(2003.6)
- 지역축제의 의미, 문제점과 바람직한 방향, 우리문화(2003.11)
- 지역축제를 통한 관광마케팅 사례, 지방행정(2003.11)
- 생태관광형 축제평가 : 무주반딧불이 축제사례연구, 식물인간환경(2003.12)
- 하동야생차문화축제 행사평가연구, 한국식물인간 환경학회지(2004.3)
- 축제방문객만족도가 지역문화관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- 금산인삼축제를 중심으로-, 관광레져연구(2004,5)
- 영동난계국악축제연구,음악과 민족(2004.11)
- 문화예술행사평가연구: 단원미술제 사례, 디자인학 연구(2004.11)
- 역사인물을 활용한 축제개발 : 장영실 사례, 지역과 역사(2004.12)
- 광주김치축제프로그램 평가연구,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(2004,12)
- 천수만탐조축제에 관한 생태관광연구, 한국환경과학회지,(2005,3)
- 생태관광목적과 만족에 대한 방문객 지각연구 : 무주반딧불축제사례(2005.4)
- 방문객 만족 측면에서 주제공원 이벤트의 효과 : 엑스포과학공원을 중심으로, 관광레저연구(2005.5)
- 안산문화관광축제 연구 : 홍보자료 및 안내서비스가 방문객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,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(2005.6)
- 광주김치대축제 방문객의 홍보 및 행사만족도에 관한연구,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,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(2005.6)
- 2005한산모시문화제 참가자 소비성향 및 경제적 파급효과, 컨벤션연구(2005,8)
TOP